용접 기술사관련

용접 면접 질문

dansseam 2006. 6. 26. 15:07
 

용접 재료


1. 금속의 공통 성질을 나열해 보시오.

.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es 수은은 제외)

.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 금속특유의 금속광택을 가지고 있다

. 연성과 전성이 풍부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하다

. 대체로 비중이 크다(Li와 같이 비중이 0.534 인 것도 있다)

2. 경금속과 중금속의 구분은 무엇으로 하나?비중이 4이하면 경금속 4 이상이면 경금속

3. 합금의 특징을 열거하시오

. 경도가 증가된다

. 색이 변하며 주조성이 커진다

. 용융점이 낮아진다

. 성분 금속보다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4. 금속의 응고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시오

용융금속à 결정핵 발생 à 결정의 성장 à 결정의 성장 à 결정계형성

5. 금속의 결정 구조에서 격자의 종류에 대하여 제시 하시오

체심입방격자, 면심입방격자, 조밀육방격자, 정방격자

6. 철의 경우 동소변태 (고체내의 원자 배열이 면심입방 격자에서 체심입방격자로)에서

A4변태와 A3 변태점의 온도는? A4 변태 : 1400℃ A3 변태 : 910℃

7. 순철의 자기 변태점 온도는? 768℃

8. 고용체의 종류에는? 규칙격자형 고용체, 침입형 고용체, 치환형 고용체

9. 금속과 금속이 친화력이 클 때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성분금속과

   는 다른 성질을 가지는 화합물은?

탄소강,주철 : Fe3C

청동        : Cu4Sn, Cu3Sn

알루미늄 합금 : CuAl2

마그네슘 합금 : Mg2Si, MgZn2

10.   다음 금속의 비중을 쓰시오.

1) 리듐- 0.53

2) 이리듐- 22.5

3) 철- 7.87

11. 다음 금속의 융점은?

1) 텅스텐: 3400℃

2) 수은: -38.89℃

3) 순철: 1530℃


12. 다음 금속을 열전도율 순으로 배열하시오.

(납, 알루미늄, 구리, 은 ) 은 > 구리 > 금 > 알루미늄

13. 다음 금속을 전기 전도율 순으로 배열하시오.

< 은,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니켈, 철, 납, 안티몬 >

14. 가공경화란? 금속이 가공에 의하여 강도, 경도가 커지고 연신율이 감소하는 성질

15. 시효 경화란? 과포화 고용된 합금원소가 냉한후각 시간이 지나면서 석출되면서 경화되는 성질

16. 다음 금속의 재결정 온도는?

납 : -3℃, 주석:-7~25℃, 아연:7~25℃, 마그네슘:150℃, 알루미늄:150~240℃, 금:200℃

17. 취성이란 무엇이며 종류에는? 물체가 약간의 변형에도 견디지 못하고 파괴하는 성질로서 인성의 반대이다

18. 용광로의 크기는 어떻게 표시하나? 1일에 산출된 선철의 무게를 톤으로 표시

19. 다음 제강로의 크기는 어떻게 정하나?

1) 전기 및 전로- 1회에 용해 할 수 있는 용량

2) 평로- 1일 장입 가능한 양

3) 도가니로-1회 용해 가능한 구리의 중량

20. 다음 강괴의 특징은?

1) 킬드강- 완전 탈산강 탈산제로는 규소철과 망간철,알루미늄 분말을 이용

2) 세미킬드강-약한 탈산강 킬드강 보다 탈산이 적은 것

3) 림드강- 탈산 및 가스처리가 불충분한 상태의 것으로 용접종 선재등에 쓰임

21. 탄소강의 5대 합금 원소를 나열하시오 탄소, 규소, 망간, 인, 유황

22. 강의 표준조직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페라이트, 퍼얼라이트, 시멘타이드

23. 강에 이것이 함유되면 강도 경도 인성 점성이 증가하고 담금질성이 증가되나 연성은 감소하며 유화철이 되어 고온 가공을 쉽게 하는 원소의 명은? 망간(Mn)

24. 적열 취성이 원인이 되며 가의 원소이기도 한 이 원소의 명칭은? 인(P)

25. 편석과 상온 취성의 원인이 되는 원소명은? 인

26. 헤어크랙의 원인이 되는 원소명은? 수소(H2)

27.   다음 금속의 탄소 함유량과 용도를 조사하시오

1)      극연강- <0.12%

2)      연강- 0.13-0.20%

3)      반연강- 0.20-0.30%

4)      반경강- 0.30-0.40%

5)      경강- 0.40-0.50%

6)      최경강- 0.50-0.70%

7)      탄소공구강- 0.70-1.50%

8)      표면강화강- 0.08-0.2%


28.   다음 금속의 기호를 설명하시오

1)      SPS- 스프링강

2)      SKS- 합금 공구강

3)      SKH- 고속도강

4)      SUS- 스테인레스강

5)      SEH- 내열강

6)      SK- 자석강

29.   비자성체인 스테인레스강의 명칭은? 오스테나이트강.고Mn강,rhnirkd,18-8스텐레스강

30.   줄자, 정밀 기계 부품 등으로 쓰이는 불변강은? 인바아

31.   열팽창계수가 아주 작은 불변강은? 초인바아

32.   시계부품, 정밀기계부품으로 좋은 불변강은? 엘린바아

33.   전구, 진공관 도선용으로 적합한 불변강은? 플레티나이트

34.   보통주철의 인장강도는?  10~20Kg/㎟

35.   고금주철의 인장강도는? 25Kg/㎟

36.   강의 표준조직을 얻기 위해 취하는 열처리는?

<NORMARLIZING:- 주조나 압연 용접등이 가공을 하여 고온 가열된 부분의 강재는 결정립이 조대화 되고 내부응력이 축적되어 기계적 성질이 매우 저하된다. 이러한 결점을 없애기 위해 강을 변태점보다 30~50℃ 높게 가열 하여 결정립을 미세한 오스티나이트계로 만든 후에 공기중에서 서냉시켜서 Fe3C와 a로 변화시키는 조작

37.   응력제거에 필요한 열처리는?

<ANNEALING:- 불림과 거의 같은 조작이지만 가열 온도가 변태점 이상 20~30° 정도로서 불림에 비하여 약간 낮은 편이고 냉각 방법에서 노냉시키거나 극히 서냉 시킨다는 것이 다름

38.   담금질 조직의 종류를 강도와 경도 순으로 나열하시오

1. Cementite 800~920

2. Martensite 600~720,

3. Troostite 400~500,

4.Sorbite 270~275,

5.Pearlite 200~225,

6. Austenite 150~155,

7. Ferrite 90~100


39.   뜨임(TEMPERING)의 목적은? 담금질강의 경취성을 줄이고 강인성을 부여하기위해

40.   고체 침탄법에 이용되는 침탄제를 제시하시오 Na2Co(탄산나트륨), BaCo3(탄산바륨), KCN(시안화칼리), K3Fe(CN)6, NaCl, K2CO3



용접설계 및 시공


1.  용접 설계란? 기계또는 구조물 기타 각종 설비를 용접을 이용하여 제작 하는 경우 그 제품이 사용 목적에 적합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또한 염가로 될 수 있도록 재료 모양 크기라든지 그 밖의 모든 것을 결정 하는 것

2. 용접재료의 융점, 비중, 팽창계수, 열전도도, 전기저항 등은 어떤 성질의 것인가?

물리적인 성질

3.  용접부의 이음에 관한 이음형식 8가지를 나열하시오. 맞대기 이음, T이음, 겹치기 이음, 모서리 이음, 한면 덥개판 이음, 양면 덮개판 이음, +이음, 변두리 이음

4. 맞대기 용접에서 양쪽 홈 이음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X형, K형, 양면U형(H형),양면 J형

5. 필렛용접의 종류를 용접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힘(하중)의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전면필립용접,측면필립용접,경사필립용접

6. 플러그 용접이란? 겹친 두개의 판재에서 어느 한편의 모재에다 둥근 구멍을 만든다음 그곳에다 융착 금속을 채우면서 용접을 하는 방법

7. 맞대기 용접에서 이음 홈의 종류를 나열하고 판 두께 순에 따라 선택의 조건을 설명하시요.

-         I형 홈 : 6㎜ 이하에 사용

-         V형 홈 : 6~20㎜ 두께에 사용

-         X형 홈 : 두꺼운 판 용접이 이용

-         U형 홈 : 두꺼운 판을 한쪽에서의 충분한 용입을 얻을 때

-         H형 홈 : 두꺼운 판을 양쪽에서의 충분한 용입을 얻을 때

-         베벨홈 : K형 보다 두꺼운 판에 사용

8. 이음 홈의 종류 8가지 중 필렛 용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열하시오.

9. 어떤 이음에서 베벨형이나 K형 이음을 선택하여 충분한 용착을 요하나? T형이음

10. 루우트 반경이 필요한 이음 홈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J,U,H형

11. 필렛 용접에서 목 두께는 각장의 몇 %인가? 80%

12. 필렛 용접의 각장은 판 두께의 몇 %인가?

13. 설계상 목 두께는 이론 목 두께인가 아니면 실제 목 두께인가? 실제 목두께로 계산

14. 모재 두께가 서로 다른 경우 두꺼운 모재의 단면에 얼마 이하의 테이퍼를 요하나? 1/4 이하

15. 용접선의 교차를 피하기 위해 교차부에 부채꼴 모양으로 대 주는 조각을 무엇이라 하나?

16. 연강의 경우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몇℃룰 기준으로 서로 반비례의 관계에 있는가?

150~300℃에서 인장 강도가 커지지만 400℃ 이상에서는 강도가 급격히 저하


17. 크리이프 강도란? 고온에서의 크리이프 강도는 연강 및 저합금강의 용착금속에는 용접 결함이 없는 한 한 모재에 못지 않게 양호하다는 것이 실험에서 인정됨

18.   청열취성이 일어나는 온도는?

19.   맞대기 용접에서 덧붙임은 모재 두께의 몇%인가? 모재표면보다 조금높게 덧붇임

20.   이음효율의 공식을 쓰시오.

      이음효율(%) = 용접시험편의 인장강도   X 100

                      모재 인장강도

21. 맞대기 용접에서 토우부에 걸리는 응력집중 현상은 모재부보다 몇 배정도 더 걸리나? 1.7~1.8배

22. 보통 열 영향부는 모재부 보다 어느 정도 이음효율이 되는가? 90~80% 또는 그이하로 저하된다

23.   용착금속의 인장강도 계산식은?

Σw =   P   =   P  

          Ht.l      t.l

24. 엔드 탭이란? 강도상 중요한 부분에는 양끝에 연장판을 붙여 용접하고 불필요시 제거 시키면 된다

25.   필렛 용접의 인장강도 계산식은? Ht=h cos 45° = 0.707h

Σf =     P    =   1.414P

        ht.l         hl

26. 피로한도란? 용접부가 아무리 반복하중이나 교번 하중을 받아도 파단되지 않고 견디는 한계

27.   피로한도 측정에 사용되는 하중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반복하중,교번하중

28.   보통 강재의 경우 정하중이 작용 할 때 허용 응력은 인장강도의 몇 %인가?

29.   고장력강의 경우 허용응력은 인장강토의 몇 %이며, 항복점의 몇 %인가?

인장강도 41~50㎏/㎟ 항복점 : 23㎏/㎟

30.   안전율의 공식을 쓰시오

안전율 : S =  극한 한도(σu)

              허용응력(σa)

31. 사용응력에 관한 안전율의 공식은?

사용응력의 안전율 : Sw =  극한강도 (σu)

                          사용응력(σw)

32.   다음 재료의 안전율은 정하중 일 때 어떤가?

강-  3

주철-  4

동-  5


33. 용접지그의 사용목적에 대하여 열거하시오. 용접물을 정확한 치수로 완성하기 위해

34. 지그의 종류를 나열하라

포지셔너,회전 로울이 붙은 테이블,회전테이블,메인플레이트

35. 피복 아아크 용접에서 적당한 이음 홈 각도는? 54-70℃

36. 써브머지드 아아크 용접에서 루우트 간격은 얼마 이하 이어야 하는가? 0.8㎜ 이하

37. 루우트 간격은 용접봉 지름의 약 몇 배로 하나? 1배 이하 또는 2-3mm

38. 맞대기 용접시 다음과 같이 루우트 간격이 클 때 조치법은?

1) 6mm이하 뒤판을 대서 용접

2) 6~16mm  뒤판을 막아내든지 주위를 용접

3) 16mm이상 판의 전부 또는 일부(길이 약 300mm)를 대체 한다

39. 필렛 용접에서 루우트 간격이 다음과 같이 클 때 필요한 조치법은?

1) 1~15mm 규정대로 각장으로 용접한다

2) 1.5~4.5mm 그대로 용접해도 무방하나 넓혀진 만큼 각장을 증가시킴

3) 4.5mm이상   라이너를 넣거나 부족한판 300mm 이상 잘라내서 대체

40. 조립 순서에서 맞대기 용접과 필렛용접 중 어떤 것을 먼저하나? 맞대기용접

41. 큰 구조물의 경우 어떤 순서로 어떻게 용접을 하나? 구조물의 중앙에서 끝으로 향하여 용접 하고 대칭으로 용접을 진행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 있음

42. 가접을 할 때에는 용접공의 기량은 어느 수준이 좋으며 용접에 비해 용접봉을 어떤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나? 본용접공과 비등한 기량을 가진 용접공이 실시해야 하며 본 용접보다 지름이 약간 가는 용접봉을 사용한다

43. 가접을 할 때 박판과 후판에서 간격 측면에서 어떻게 다른가? 가접의 간격은 두께3mm 정도의 얇은 판에는 50mm 마다, 두꺼운 판에는 300mm마다 가접한다

44. 가접시 일반적인 주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하중을 받는 중요부분에 가접을 피하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 가접을 한다

-  가접부위에 본용접을 행할 때 I형 막대기 용접이나 필릿 연속 용접에서는 비이드 외관이 거칠어 질수 잇으므로 비이드 시작점과 끝나는 지점에는 가접을 피하고 연속 비이드 중간에 가접부가 오도록 한다

- 가접부 슬래그는 충분히 제거 하고 결함부는 깍아낸다

- 용접열에 의한 열응력 작용으로 가접부에 균열이 생겼을때는 삭제한다

- 대체로 후판에는 가접이 불필요 하거나 필요 하다고 해도 그 영향이 적지만 박판의 경우 가접이 불가결이기 때문에 특히 주의한다

45. 맞대기 용접시 엇갈림의 허용치는 판 두께의 몇 %이며, 파이프의 경우는 어떤가?

엇갈림 허용치는 판두께의 5%(t20이하는 1mm t60이상은 3mm)이고 파이프는 판두께의 10%(t15이하는 1.5mm, t60 이상은 6mm)이내로 한다

46. 써브머지드 아아크 용접에서 기름이나 수분을 제거시키기 위한 가열 온도는? 80℃

47. 한쪽 끝에서 시작 다른 쪽으로 용접을 진행하며, 용접길이가 짧거나 변형, 잔류응력이 문제시되지 않을 때 선택하는 용착법은? 전진법

48. 용접 길이 전체 중에서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병행 실시하는 용착법은? 대칭법

49. 용접을 단계적으로 후퇴하면서 하는 용착법은? 후퇴법

50. 짧은 용접길이로 나누어 간격을 두고 용접한 후 빈 자리를 차례로 용접해 나가는 방식의 용착법은? 스킵법

51. 용접부가 긴 경우 용접하는 방법 중 용착법들을 나열하시오

52. 다층 쌓기법에 관한 방법들을 나열하시오 덧살올림법,캐스캐이드법,전진블록법

53. 각층마다 전체의 용접길이를 용접하면서 쌓아 올리는 용착법은? 덧살올림법

54. 케스케이트법이란? 한부분의 몇층을 용접 하다가 이것을 다음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가 단게를 이루도록 융착시켜 가는 방법

55. 전진 블록법이란? 한 개의 용접봉으로 살을 붙일만한 길이로 구분해서 홈을 한 부분씩 여러층으로 완전히 쌓아올린다음 다른 부분으로 진행하는 방법

56. 같은 평면 안에 많은 이음이 있을 때 수축을 가능한 한 어느 곳에 보내도록 하는가? 자유단

57. 용접 순서에서 물품의 중심에서 어떻게 용접을 진행 시키나? 대칭으로 용접

58. 수축이 큰 것과 작은 것 중 어느 곳을 먼저 용접 하나? 수축이 큰 것

59. 용접물의 증립축을 중심으로 모우맨트의 합은 어떻게 하나? 0이되도록 한다

60. 열의 확산 방향이 많으면 냉각 속도는 어떠한가? 급랭한다

61. 두꺼운 판과 얇은 판 중 어떤 것이 빠르게 냉각되나? 두꺼운판

62. 맞대기 이음과 T형 이음 중 어떤 것이 빠르게 냉각 되는가? T형이음

63. 연강이라도 두께가 25mm이상되면 급냉하기 쉬우므로 예열을 해야 하는데 그 온도는? 50~350℃

64. 다음 금속의 예열 온도는?

1) 연강- 40~70℃

2) 주철- 500~550℃

3) 알루미늄 및 동합금 200~400℃

65. 예열용 온도 측정 방법은? 표면온도 측정용 열전상 이나 템필스틱을 이용

66. 응력제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용접 잔류 응력이 제거된다.

-  용접 열영향부가 템퍼링화 되어 연성을 갖는다.

-  응력부식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한다.

- 크리이프 강도가 증가한다.

- 충격저항성이 증가한다.

- 치수의 안정화가 실현된다.

- 용착금속중의 수소가스가 제거되어서 연성이 증가된다


67. 노내 풀림법의 가열온도와 유지시간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판두께 25mm에 대해 600℃에서 10℃씩 온도가 내려가는데 대해서 20분씩 길게 잡으면 된다.

68.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용접선의 좌우 양측을 각각 약 250mm의 범위를 혹은 판두께의 12배 이상의 범위를 가열 후 서냉 시키는 후열처리법은? 국부 풀림법

69. 용접선의 양측을 150mm폭을 150~200℃로 가열 후 물로 급냉시키는 방법으로 용접선의 인장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저온응력 완화법

70. 잔유응력이 있는 제품에 하중을 주고 용접부에 약간의 소성변형을 일으킨 다음 하중을 제거하는 방법은?기계적 응력 완화법

71. 열간 피이닝의 온도는? 700℃

72. 응력제거 및 완화법의 종류를 기술하시오.

노내 풀림법 , 국부 풀림법 , 저온응력 완화법, 기계적 응력 완화법 ,

피이닝에 의한 방법

73. 박판에 변형이 일어났을 때 점 수축법을 써 교정 하는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가열 온도-500~600℃

2) 가열 지름-20~30mm

3) 가열 시간-약 30초

4) 가열 피치-50~70mm

74. 형강재의 변형교정에 필요한 교정법은? 가열 후 수축

75. 변형 부분을 가열 후 망치로 두들겨 교정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나? 가열 후 해머질 하는 법

76. 판상의 재료가 얇을 때 변형교정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

77. 용접 직후 용접부를 특수 해머로 가볍게 두들겨, 변형을 교정하고 잔류응력도 감소시키는 방법은? 피이닝 하는 법

78. 다음의 결함을 보수하고자 할 때 그 방법을 기술 하시오

1) 기공, 슬래그 섞임- 그부분을 깎아 내고 다시 용접

2) 언더컷- 작은 용접봉으로 용접

3) 오우버랩- 그부분을 깎아내고 다시 용접

4) 균열- 균열 끝에 구멍을 뚫고(스톱 홀) 균열 부분을 따내어 홈을 만들고 필요하면 부근의 용접부도 홈을 만들어 다시 용접한다

79. 천이 온도란? 재료가 연성 파괴에서 취성 파괴로 변화하는 온도 범위

80. 용접봉 보관 창고의 온도는? 건조한 곳으로 내부를 60~80℃로 항온 유지하면 좋다.

81. 피복아아크 용접시 다음의 자세에서 일반적인 용착율은?

1) 아래보기 자세- 90%

2) 수직 자세- 80%

3) 수평 자세- 85%

4) 위보기 자세- 75%

82. 용접부의 변형 방지법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억제법 , 역변형법 , 비이트 순서를 바꾸는 법, 냉각 법

83. 용접전 변형이 일어날 것을 예측하여 미리 반대 반향으로 변형을 주고 용접하는 방법은? 역변형법

84. 변형 방지 방법 중 냉각법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수냉 동판 사용법 , 살수법 , 석면포 사용법

85. 탄소의 함량에 따라 철을 분류할 때 순철, 강, 주철의 탄소 함량의 한계는?

      순철 – 0.03%C  /  강 – 1.7%C  /  주철 – 6.67%C

86.   탄소의 함량에 따라 강을 분류할 때 다음의 경우 탄소 함량은?

1) 저탄소강- 탄소가 0.3% 이하

2) 중탄소강- 탄소가 0.3~0.5%

3) 고탄소강- 탄소가 0.5~1.3%

87. 주철의 융점은? 1150℃

88. 주철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백주철 , 반주철 , 회주철 , 구상흑연주철 , 가단주철

89. 스터드법, 비녀장법, 버터랑법, 로킹법과 같은 방법으로 보수용접을 요하는 재료명은? 주철

90. 노듈러 주철이라하며, 회주철보다 2배 이상 강도가 있으며, 연성이 높고 내마모성, 내열성이 우수한 주철은? 구상 흑연 주철

91. 연강에 강도를 높일 목적으로 적당한 합금원소를 첨가한 하이텐실이라 부르는 강은? (HT) 저합금 고장력강

92. 스테인레스강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페라이트계 , 마르텐사이트계 , 오스테나이트계.

93. 12~13%의 크롬을 함유한 합금으로 공랭 자경성이 있는 스테인레스강 명은? 페라이트계

94. 16%의 크롬을 함유한 강으로 자경성이 없는 스테인레스강의 명칭은? 마르텐사이트계

95. 18-8 스텐레스강은 무슨 조직인가? 18Cr-8Ni

96. 다음 금속의 합금 요소를 서술하시오.

1)      실루민- AI+Si+Fe

2)      Y합금- AI-Cu-Ni-Mg

3)      듀날루민- AI+Cu+Mg+Mn

4)      황동- 동과 아연의 합금

5)      청동- Cu – Sn계 합금

6)      톰백- 아연 8~20%

7)      네이벌 황동- 6.4황동에 1%Sn을 넣은 것

8)      델타메탈- 6.4황동에 납을 1~2%의 Fe

9)      포금- Sn10%정도 (8~12%)에 1~2%Zn 을 포함한 것

10)   켈밋- 청동에 납을 30~40%정도 포함시킨 것

1. 연강판을 가스 절단시 예열 온도는? 850~900℃

2. 주철의 절단시 절단을 방해하는 요소는? 주철의 융용점이 연소 온도 및 슬래그의 융용점보다 낮고 또 주철중에 흑연은 철의 연속적인 연소를 방해 하므로

3. 철의 연소 온도는? 1,350℃

4. 가스 절단에서 아세틸렌 게이지 압력이 0.07Kg이하인 토오치는 어떤 형식인가?

저압식토오치

5. 직선 절단이 용이한 절단 토오치 명칭은?

6. 곡선 절단에 알맞으며 팁끝이 동심형인 토오치의 명칭은? 저압식토오치

7. 중압식 절단 토오치의 아세틸렌 게이지 압력은? 0.07~0.4㎏㎠

8. 가스의 혼합의 팁 믹싱 형태의 절단기로 역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절단기의 명칭은?

9. 전자동 절단기의 정밀도는 수동에 비해 몇 배 정도인가?  중압식토오치

10. 가스 절단에서 절단이 잘 되고 안되고의 판정에 관한 요소는?

절단효율, 절단면의 모양, 절단면의 정밀도

11. 절단의 영향 요소를 나열하라. 팁의 크기와 모양, 산소의 압력, 절단속도, 모재의 재질과 두께, 가스의 순도, 예열불꽂의 세기, 예열온도, 팁의거리, 각도

12. 탄소의 함량이 몇%이상일 때 분말 절단이 필요한가? 4%

13. 알루미늄 함량이 몇%이상일 때 절단이 곤란한가? 10%

14. 드래그란? 하나의 드래그라인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수평거리

15. 산소의 소모가 증가하면 드래그가 어떻게 변하나? 드래그는 점차 짧아진다

16. 표준 드래그는 강판 두께의 몇%?  20%

17. 산소의 소모량이 증가하면 절단속도는?  비례적으로 증가

18. 탄소강에서 공석강은 탄소량이 몇%? C≒ 0.75%

19. 고속 절단이 가능한 모재의 예열 온도는? 1,000 ~ 1250℃

20. 다이버 젠트 노즐의 사용시 보통절단팁에 비해 절단 속도와 산소 소비량의 변화는?

산소소비량이 같을 때 절단속도를 20~25% 증가 시킬 수 있다

21. 산소의 순도가 99.5에서 1% 낮아지게 되면 산소의 소비량이 몇% 증가하며 속도 또한 얼마나 감소하나? 절단 속도는 25% 저하되고 산소 소비량도 25% 증가한다

22. 가스 절단에서 예열 불꽃이 너무 강할 때 일어나는 결과는?

-         절단면의 위 기슭이 녹아 아름답지 못하다.

-         뒤쪽에 슬래그가 많이 달라 붇는다.

-         필요 이상으로 세면 불꽃이 팁에서 떨어진다.

23.   가스 절단에서 모재와 백심 불꽃 끝 사이에의 거리는? 1.5 ~ 2㎜

24.   절단 진행각은? 진행방향과 90~105°

25. 가스 절단시 아세틸렌에 비한 프로판 사용시 산소소비량은 얼마나 더 증가하나?  4.5배

26.   가스 절단에서 아세틸렌 가스와 프로판 가스의 사용상의 차이점을 열거하라.


         아세틸렌                     프로판

     - 점화하기 쉽다               - 절단상부 기슭이 녹는 것이 적다

     - 중성불꽃을 만들기 쉽다      - 절단면이 미세하며 깨끗하다

     - 절단 개시까지 시간이 빠르다 – 슬래그 제거가 쉽다

     - 표면영향이 적다             - 포갬 절단속도가 아세틸렌보다 빠르다

     - 박판 절단시 빠르다.          – 후판 절단시 아세틸렌보다 빠르다


27. 절단팁의 모양에서 팁선단의 슬러브가 1.5mm 정도 돌출된 토오치는 어떤 가스를 사용한 것인가? 프로판가스

28.   주철, 스테인레스강, 구리, 알루미늄, 비금속은 어떤 절단이 좋은가? 분말절단

29.   철분 절단시 철분과 알루미늄 분말의 적당한 메쉬는? 200

30.   스테인레스강에 가장 좋은 절단 법은? 용제절단

31.   수중절단의 사용가스로 좋은 것은? 수소가스

32.   수중 절단시 예열 가스량은 공기 중에서보다 얼마나 더 필요한가? 4~8배

33.   수중 절단시 산소 분출구의 구멍크기는 공기 중에서 보다 얼마나 더 큰 것을 요구하나? 50~100% 큰것을 사용

34.   산소창 절단시 구리관의 안지름과 길이의 크기는? 안지름:3.2~6㎜ 크기:1.5~3m

35.   산소창 절단이 필요한 작업부분은? 용광로 평로의 탭, 구멍의 천공, 두꺼운 판의 절단, 슬래그 덩어리, 시멘트 및 암석의 천공

36.   겹치기 절단시 최상판의 두께는 얼마나 적당한가? 6㎜

37.   겹치기 절단시 판사이의 틈새는 얼마 이하여야 하는가? 0.08㎜

38.   가스 가우징시 가우징 폭과 깊이의 비는? 1:2 -3

39.   가우징의 목적은? 가스절단과 비슷한 토오치를 사용해서 용접부분의 뒷면을 따내든지 U형, H형의 용접홈을 가공하기 위해 깊은 홈을 파내는 가공법

40.   가우징에 필요한 토오치 각도는?  10~20°

41.   가스 가우징은 가스 절단에 비해 속도가 어떠한가? 절단 때의 2~5배

42.   스카아핑의 목적은? 강괴,강편,슬래그,기타 표면의 균열이나 주름,주조결함,탈탄층 등의 표면결함을 불꽃가공에 의해서 제거하는 방법

43.   냉간재와 열간재의 경우 각각 스카아핑의 속도는?

냉간재 : 5~7m/min

열간재 : 20m/min

44.   탄소 아아크 절단시 호울더에서 수냉식과 공냉식의 한계는 몇 A 인가?

300A 이하에서는 보통의 호울더, 300A 이상일 경우 수냉식호울더

45.   아아크 에어 가우징에서 탄소봉 표면에 구리를 도금한 사유는? 전극으로 하여 직류역극성으로 아아크를 발생시켜, 융용 금속을 호울더의 구멍에서 분출시킨 압축공기에 의해 밀어내어 홈을 파는 형식

46.   아아크 에어 가우징의 전극은? 전압:35~45V 전류:200~500A

47.   가스 가우징에 비한 아아크 에어 가우징의 속도비는?

48.   아아크 에어 가우징시 공기압은? 6~7㎏/㎠

49.   아아크 에어 가우징 전극 한 개로 가능한 가우징의 길이는? 1.5~3m

50.   MIIG 절단시 전원의 극성은? 직류 역극성(DCRP)

51.   TIG 절단시 전원의 극성은? 직류 정극성

52.   프라즈마 아아크 절단시 아아크 온도는? 15,000~30,000℃


1.       가스 용접의 장점과 단점을 열거하라.


▶장점;

l        전기가 필요 없다.

l        용접기의 운반이 비교적 자유롭다.(용접장치 설비가 쉽다.)

l        용접장치의 설비비가 전기 용접에 비하여 싸다.

l        불꽃을 조절하여 용접부의 가열 범위를 조정하기 쉽다.

l        박판 용접에 적당하다.

l        용접되는 금속의 응용 범위가 넓다.

l        유해 광선의 발생률이 적다.

l        용접기술이 쉬운 편이다.

▶단점;

l        고압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폭발, 화재의 위험이 크다.

l        열효율이 낮아서 용접속도가 느리다.

l        금속이 탄화 및 산화될 우려가 많다.

l        열의 집중성이 나빠 효율적인 용접이 어렵다.

l        열을 받는 부위가 넓어서 용접후의 변형이 심하게 생긴다.

l        일반적으로 신뢰성이 적다.

l        용접부의 기계적인 강도가 떨어진다.

l        가열범위가 커서 용접능력이 크고 가열시간이 오래 걸린다.


2.       가연성 가스의 종류의 예를 들고 산소와 혼합 최고불꽃온도를 설명하라.

l        아세틸렌 (C2H2) – 3,430℃

l        수   소 (H2)   – 2,900℃

l        프로판  (C2H8) – 2,920℃

l        메   탄  (CH4)  – 2,700℃


3.       산소가 공기와 물 속에 약 몇% 존재하나? ▶88.89% 존재한다.

4.       산소의 비등점과 용융점은? ▶-182℃

5.       산소의 비중은? ▶1.05

6.       액산의 색은? ▶연한청색

7.       산소가 1기압에서 0℃일 때 무게는? ▶1.429g

8.       KS규격에서 산소의 순도는? ▶99.3% 이상

9.       KS규격에서 액산의 순도는? ▶99.5% 이상

10.   질소의 비등점은? ▶-196℃

11.   산소의 제법중 물을 전기분해 할 때 음극과 양극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를 나열하고 촉매제가 무엇인지 설명하라. ▶음극 – 수소 / 양극 – 산소 / 촉매제 – 이산화망간

12.   산소의 제조방법을 3가지 제시하시오.

l        액체 공기에서 산소를 채취하는 법

l        물을 전기분해 하는 방법

l        화학약품에 의한 법

13.   산소 – 아세틸렌 가스의 최고 불꽃 온도는? ▶3430℃

14.   발열량이 가장 큰 가연성 가스는? ▶

15.   액산 1리터를 기화하면 몇 리터의 산소를 얻을 수 있나? ▶900L

16.   탄화수소의 종류 3가지를 예시하면? ▶

17.   아세틸렌의 화학식은? ▶C2H2

18.   아세틸렌에서 악취가 나는 원인은?

l        인화수소, 유화수소, 암모니아,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19.   아세틸렌의 비중은?  ▶0.91

20.   아세틸렌의 1리터에서 무게는? ▶1.176

21.   아세틸렌이 다음의 액체에서 용해량은?

A.       물- 같은 량

B.       석유- 2배

C.       벤젠- 4배

D.       알코올- 6배

E.        아세톤- 25배

22.   아세틸렌을 500℃로 가열된 철판을 통과시키면 무엇으로 변하나? ▶벤젠

23.   아세틸렌을 탄화수소로 분류 및 카본블랙이라는 잉크 원료를 얻기가 가능한 온도는? ▶800℃

24.   순수한 카바이트 1㎏으로 얻을 수 있는 아세틸렌 가스량은? ▶475㎉

25.   프로판 가스를 몇℃로 가열하면 아세틸렌이 제조 되나? ▶

26.   아세틸렌의 자연발화 온도는? ▶406~408℃

27.   아세틸렌의 폭발온도는? ▶505~515℃

28.   아세틸렌이 공기가 없어도 폭발하는 온도는? ▶780℃

29.   아세틸렌이 15℃에서 2기압일 때와 1.5기압일 때의 차이점은?

l        2기압에 압력을 가하면 충격 진동 등에 의하여 폭발하고 위험압력은 1.5기압이다.

30.   아세틸렌이 산소와 혼합시 가장 폭발하기 쉬운 혼합비는?

l        아세틸렌15% 산소85%

31.아세틸렌이 인화수소의 함량에 따라 폭발을 일으키는데 0.02%와 0.06%일 때 차이점은?

l   0.02% 이상이면 폭발 성을 갖게 되며 0.06%이상이면 대체로 자연 발화되어 폭발한다.

32.   아세틸렌 가스 도구에 구리함량이 몇 %일 때 폭발위험이 큰가? ▶62%

33.   아세틸렌이 수은이나 은 등과 접촉하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l        이들과 화합하여 폭발성이 있는 화합물로 생성

34.   카바이트 제조시 소요 재료를 열거하라.

l        산화칼슘(생석회)에 선탄또는 코크스를 56 : 36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전기로 속에서 2300~3000℃ 로 가열하여 만듬

35.   카바이트의 융점은? ▶2300℃

36.   카바이트 비중과 색깔은? ▶비중 = 2.2~2.3  /  색깔 = 회흑색 또는 회갈색

37.   카바이트 등급에서 카바이트 1㎏을 물과 작용 시 열량은? ▶290L 이상

38.   카바이트 등급에서 카바이트 1㎏으로 발생되는 가스량에 따라 등급을 표시하라.

l        1호 = 290 이상 , 2호 = 260 이상 , 3호 = 230 이상 , 4호 = 200 이상

39.   카바이트 취급 시 주의사항을 제시하라

l        카바이트는 규격상 승인된 장소에 저장해야한다.

l        카바이트는 아세틸렌가스 발생기 밖에서는 물이나 습기와 접촉시켜서는 안된다.

l        카바이트를 저장하고 있는 통 가까이에는 빛이나, 인화가 가능한 어떤 것도 가져가서는 안된다.

l        카바이트나 카바이트 통은 주의해서 취급해야 한다. 카바이트 통에서 카바이트를 들어 낼 때에는 불꽃(스파이크)을 일으킬 수 있는 삽이나 주걱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모넬 메탈(Monel metal, Ni 합금)이나 목재 공구를 사용해야 한다.

40.   액화 LPG가스를 기화하면 몇 배의 가스를 얻을 수 있나? ▶1/250

41.   왜, 수소가스는 용접에 쓰이지 않나? 산소-아세틸렌 불꽃과 같이 불꽃의 경계가 확실하지 못하고 청색의 겉불꽃에 둘러 쌓인 무광 휘염을 발생 시키기 때문

42.   연강, 주철, 알루미늄, 구리 등은 어떤 불꽃으로 용접하는가? ▶중성불꽃

43.   황동은 어떤 불꽃으로 용접하는가? ▶산화불꽃

44.   스텐레스강, 모날메탈, 스텔라이트는 어떤 불꽃으로 용접하는가? ▶탄화불꽃

45.   산소-아세틸렌 불꽃의 부분 중 백심 끝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가 온도가 가장 놓은가?

▶1.5~2㎜

46.   다음 금속의 용융점은?

A.       연강- 약 1500℃

B.       구리- 약 1083℃

C.       주철- 약 1100~1200℃

D.       알루미늄- 약 660℃

E.        황동- 약 880~930℃

F.        스텐레스강- 약 1400~1450℃

47.   산소용기의 파열판이 파열되는 압력은? ▶압력의 80%

48.   산소용기의 가스 충전량에 따라 분류할 때 종류를 나열하고 내용적과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5000L / 6000L / 7000L 세종류 , 내용적은 각각 33.7L / 40.7L / 46.7L

49.   산소용기의 충전온도와 압력은? ▶35℃ 150기압

50.   산소용기의 내압시험 압력은? ▶250㎏/㎠

51.   산소용기의 취급시 주의 사항을 열거하라.

l         안전 캡으로 병 전체를 들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l         산소병을 눕혀 두어서는 안된다.

l         산소병을 운반할 때에는 끌거나 옆으로 눕혀 굴려서는안 되며, 또 불꽃으 일으킬 수 있는 어떤 물건으로도 충격을 주지 말아야 한다.

52.   산소용기의 고압밸브를 열 때 어느 정도 회정시키는가? ▶1/4~ 1/2

53.   산소용기가 동결시 어떤 조치를 취하나? ▶따뜻한 물로 녹인다.

54.   아세틸렌 발생기의 종류를 가스 압력에 따라 분류하시오. ▶고압식, 중압식, 저압식

55.   아세틸렌의 발생기에서 물과 작용하는 형태로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l투입식 발생기 : 비교적 많은양의 아세틸렌가스를 발생시킬때사용 많은물에 카바이드를 조금씩 투입하는 방식

l주수식 발생기 : 카바이드에 물을 주수하는 방식으로 물의 소비량이 적고 기능도 간단하고 연속적으로 가스를 발생시키기 쉽다

l침지식 발생기 : 설치가 대단히 간단하고 이동이 쉽다 물속에 집어넣은 기종이 가스의 발생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침수되므로 사용하기 편리

56.   투입식 발생기에서 카바이트 1㎏에 대하여 물의 소비량은? ▶6~7L

57. 가스의 순도가 가장 양호한 발생기과 가장 불순한 발생기는? 양호 :투압식 불순:주수식

58.   용해 아세틸렌 용기 내부의 물질을 나열하라.다공질의 규조토,숯가루,석면

59.   아세틸렌의 충전 온도와 압력을 제시하라. ▶15℃ 15㎏/㎠

60. 용해아세틸렌 1㎏을 기화하면? ▶15℃의 1기압인 경우 약 910L의 아세틸렌이 발생한다.

61. 아세틸렌 용기의 크기에 대한 설명을 하시오. ▶15L / 30L / 50L 중 30L를 많이 쓴다.

62.   30L의 용기에 5㎏의 아세틸렌이 녹아있다. 이를 기화하면 몇 L를 얻을 수 있나? ▶4500L

63.   아세틸렌 충전구가 동결되었을 때 밸브를 녹이는 물의 온도는? ▶온수 35℃이하

64.   아세틸렌 용기의 잔압은 최소 얼마이어야 하는가? ▶0.1㎏/㎠

65.   토오치의 종류를 구조에 따라 분류하시오.

l         A형 토오치 (독일식 세미콜론 불변압식)

l         B형 토오치 (프랑스식 세미콜록 가변압식)

66. 토오치의 종류를 사용하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분류하시오. ▶저압식/중압식 / 고압식

67.토오치 팁에 있어 독일식 팁과 프랑스식 팁 분류법은 어떤가? ▶팁과 혼합실이 하나로 되어 있는 독일 식과 혼합실은 별도로 되어 있고 여러 개의 팁 중에서 맞는 것을 골라 사용하는 프랑스 식

68.   두께 4t의 철판을 독일식으로 용접하고자 할 때 몇번의 팁을 선택하나? ▶5번

69.   5㎏의 용해 아세틸렌을 프랑스식 팁 100번으로 용접한다면 몇 시간 용접이 가능한가?

70.   산소 용기의 사용압력 게이지의 단위 눈금 크기는? ▶고압 : 10㎏/㎠ 저압 : 1㎏/㎠

71.   산소용기의 사용압력은 얼마가 적당한가? ▶150㎏/㎠

72.   아세틸렌 게이지의 사용압력은 얼마가 적당하고 단위 눈금의 크기는? ▶압력은 산소 압력의 1/10 정도로 조절하며 고압게이지 한 눈금 단위는 1㎏/㎠ , 저압게이지 한 눈금 단위는 0.1㎏/㎠

73.   산소-아세틸렌의 이론상 완전연소 혼합비는? ▶5:2로서 2.5:1이 되므로 산소가 아세틸렌보다 2.5배 더 필요하다.

74.   상기에서 실제 혼합비는? ▶공기중의 산소 1.5배 정도 취함으로 실제로는 1:1의 혼합비를 가진다.

75.  가스 용접에서 고무 호오스의 규격을 종류별로 제시하라.

A.       인장강도- 산소- 20㎏/㎠

                    아세틸렌-2㎏/㎠

B.       내압시험- 산소-90㎏/㎠

       아세틸렌-10㎏/㎠

C.       색깔- 산소-흑색 또는 녹색

  아세틸렌- 적색

76.   안전기의 종류를 나열하라. ▶수봉식 , 스프링식

77.   수봉식 안전기의 유효 수주 높이는?25㎜이상

78.   아세틸렌 청정기의 청정제의 종류를 열거하라. ▶페라톨, 카탈리졸

79.   건조 후 재사용이 가능한 청정제는? ▶카탈리졸

80.   청정제의 최초의 색깔과 청정능력 상실시 색깔은? ▶페라톨(황색→녹색) / 카탈리졸(황색→녹회색)

81.   역류의 현상은? ▶팁끝이 막히게 되면 높은 압력의 산소가 아세틸렌 도관내에 흘러 들어가는 현상

82.   역화의 원인은? ▶작업물에 팁끝이 닿거나 팁끝이 과열되었거나 가스압력과 유량이 적당하지 않을 때 팁의 죔이 완전하지 않을 때


83.   인화란? ▶팁끝이 순간적으로 막히게 되면 가스에 불출이 나빠지고 불꽃이 혼합실까지 밀려 들어가는 현상

84.   가스용접시 보안경의 차광도는? ▶4~5번

85.   연납과 경납시 보안경의 차광도는? ▶연납 = 2 / 경납 = 3~4

86.   가스 용접봉의 직경에 관한 표준치수를 나열하라. ▶1.0 , 1.6 , 2.0 , 2.6 , 3.2 , 4.0 , 5.0 , 6.0

87.   가스 용접봉의 길이와 지름의 허용오차는? ▶길이에 대한 허용오차 = ±3㎜ , 지름에 대한 허용오차 = ±0.1㎜

88.   GA46에서 46의 뜻은? ▶용착 금속의 최저 인장강도가 46㎏/㎟

89.   시험편 처리에서 NSR과 SR의 뜻은? NSR:용접한그대로의 응력제거를 하지 않은 것

                                       SR : 625±25℃로서 을력제거 풀림을 한 것

90.   가스용접봉 선택시 모재와의 관계식을 제시하라.

D = T    + 1        D : 용접봉 지름 , T : 판 두께 

        2

91.   다음의 재료를 용접시 적당한 용재는?

▶연강 : 사용하지 않는다

▶주철 : 탄산 나트륨 15% , 붕사 5% , 중탄산나트륨 70%

▶구리합금 : 붕사 75% , 염화리튬 25%

▶알루미늄 : 염화나트륨30%, 염화칼륨45%, 염화리튬15%, 플루오르화칼륨7%, 황산칼륨3%

92. 가스 용접시 전진법으로 용접할 때 진행 반대각과 용가재 첨가각도는? ▶진행반대각 45~50° 용가재 첨가각도 30~40°

93.   가스 용접에서 전진법과 후진법을 비교 분석해라.

항목                전진법 ( 좌진법 )    후진법 ( 우진법 )

 1.       열 이용률   나쁘다                좋다

2.       용접 속도   느리다                 빠르다

3.       비이드모양  매끈하지 못하다.     보기 좋다

4.       흠각도       크다 (80°)            작다

5.       용접변형     크다                  적다

6.       모재두께    얇다 (5㎜까지)        두껍다

7.       산화정도    심하다                약하다


94.   백심 끝과 모재 사이의 거리는? ▶2~3㎜

95.   가스 용접에서 가접을 할 때 시접과 끝점에서 루우트 간격을 용접길이가 길 때 서로 다르게 한다. 이때 용접길이가 100㎜일 때 어느 정도 끝점의 간격을 더 띄우나? ▶0.7~1㎜



1. 용접의 정의에 대하여 논하시오.

-용접이란 접합하고자 하는 2개 이상의 물체의 접합부분을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면서 여기에 용가재를 넣어 접합하거나, 접합부분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 하거나 또는, 냉간상태에서 압력을 주어 접합시키는 방법

2. 원자의 인력작용 거리는?

-1㎝의 1억분의 1정도 (Å (옹그스트롱) = 10-8승㎝)

3. 용접의 장점을 나열하시오.

① 재료가 절약되고 그 결과로 무게가 가벼워 진다.

② 공정수가 감소되고 시간이 단축된다.

③ 두께의 제한이 없다.

④ 기밀성, 수밀성, 유밀성이 우수하다.

⑤ 제품의 성능과 수명이 향상된다.(이음 효율이 향상된다.)

⑥ 이종 재료 (종류가 다른 금속)를 조합할 수 있다.

⑦ 용접 준비 및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고 작업의 자동화가 쉽다.

⑧ 복잡한 구조물 제작이 쉽고 (주물 단조에 비해) 주형, 금형이 필요없다.

⑨ 소음이 적어 실내에서의 작업에도 지장이 적다.

⑩ 보수와 수리가 용이하다.

⑪ 제작비가 적게 든다.


4. 용접의 단점을 나열하시오.

① 품질검사가 곤란하다. (기공, 균열,융합 불량 등)

② 변형과 수축이 생긴다.

③ 재질의 변형 및 잔류응력이 존재한다.

④ 저온 취성 (저온에서 쉽게 깨질 염려가 있는 성질)이 생길 우려가 많다.

5. 용접의 기본자세와 관련한 기호를 나열하고 설명 하시오.

① 아래보기 자세 [기호 F ; Flat position] : 용접하려는 재료를 수평으로 놓고 용접봉을 아래로 향하여 용접하는 자세.

② 수직 자세 [기호 V ; Vertical position] : 모재가 수평면과 90° 또는 45° 이상의 경사를 가지며, 용접방향은 수직 또는 수직면에 대하여 45° 이하의 경사를 가지고 상하로 용접하는 자세.

③ 수평 자세 [기호 H ; Horizontal position] : 모재가 수평면과 90° 또는 45°이상의 경사를 가지며 용접선이 수평이 되게 하는 용접 자세.

④ 위 보기 자세 [기호 OH ; Overhead position] : 모재가 눈 위로 들려 있는 수평면의 아래쪽에 용접봉을 위로 향하게 하여 용접하는 자세

6. 전기 저항열과 관련 주울의 법칙은?

-저항 주울열 열량 (Q) = 0.24 I² Rt

               <Q : 열량 , I : 전류 , R : 저항Ω오옴 , t : 시간(초)>

7. 테르밋 반응 온도와 반응에 필요한 온도를 설명하라.

-테르밋 반응 온도 – 2,800~3,000℃

8. 전자파 에너지를 이용한 용접의 종류에는?

- 레이저 광선 , 고주파의 열 , 전자 비임을 이용한 용접

9. 오옴의 법칙을 공식으로 표기한다면?

- E=IR ,  I =E/R(A)

10. 반도체의 종류를 나열하여라.

-산화 제일 구리 , 셀렌 (Se) , 게르마늄 (Ge) , 실리콘 (Si) 등

11. 주파수가 60Hz인 우리나라 교류 전원에서 1초 동안 전기가 단절되는 횟수는?

-주파수 60인 경우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1초에 120번 단절 되었다가 연결되는 결과와 같다.

12. 용접회로를 설명하라.

-용접기에서 발생한 전류는 전극 케이블, 용접봉 호울더, 용접봉 아아크, 용접물 및 접지 케이블을 지나서 다시 용접기로 되돌아오는 이 한바퀴를 용접회로(welding circuit)라 한다.

13.   직류의 경우 (━). (╋)에서 각각 발생되는 열량은?

-직류의 경우 양극 (╋) 쪽에 발생하는 열량은 음극(━)쪽에 발생하는 열량에 비해 높아서 일반적으로 전체의 60~75%의 열량이 양극 쪽에서, 25~40%의 열량이 음극쪽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나 교류 아아크의 경우, 전원이 60사이클이면 1초 동안에 120회 양극와 음극이 서로 바뀌므로 두 극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거의 같게 된다.

14. 정극성과 역극성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하라.

-정극성쪽은 용입이 깊고 비이드 폭이 좁으며, 역극성은 정극성의 반대, 교류의 경우는 양자의 중간임을 알 수 있다.

15. 스패터란 무엇이며 그 현상을 설명하라.

-아아크 용접에서 용접봉 끝 또는 용융지에서 작은 입자의 용적(droplet)들이 비산되는 현상.

16. 아아크 쏠림의 영향은?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그 주위에 자장이 생기게 된다. 이 현상은 모재와 용접봉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자계가 생기며 이 자계가 용접봉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면 아아크가 자력선이 집중되지 않는 쪽으로 쏠리어 흐르며 아아크의 불안정, 기공, 슬래그 섞임, 용착금속의 재질변화 등의 원인이 된다.

17. 아아크 쏠림 방지 대책을 논하라.

① 직류 용접을 하지 말고 교류 용접을 사용할 것.

② 큰 가용접부 (가접부) 또는 이미 용접이 끝난 용착부로 향하여 용접할 것.

③ 용접부가 긴 경우는 후퇴 용접법(back step welding)으로 할 것.

④ 접지점을 될 수 있는데로 용접부에서 멀리할 것.

⑤ 짧은 아아크를 사용할 것, 피복제가 모재에 접촉할 정도로 짧게 할 것.

⑥ 용접봉 끝을 아아크 쏠림 반대 방향으로 기울일 것.

⑦ 받침쇠, 긴 가접부, 시임의 처음과 끝의 앤드 텝(end tap) 등을 이용할 것.

⑧ 전원 2개를 연결할 것

18.   용접 입열의 공식을 제시하라.

-  H=60EI/υ (J/㎝)

19.   교류 아아크 용접시 무부하 전압과 아아크 전압은?

-무부하전압 : 70-80V 아아크전압 :

20.   일반적인 아아크 길이는?   - 1.5~4㎜

21.   용접봉 심선직경에 따른 전류조정 공식은?-용접봉의 단면적 1㎟에 대하여10A~13A정도로 선정

22.   피복아아크 용접시 모재에 흡수 되는 열량은?                 65~85%

23.   각종 자세별로 볼 때 어떤 자세가 가장 높은 전류를 택하는가?

아래 보기 자세에서 가장 높은 전류를 쓰며 수직자세에서는 아래보기자세에서 15~20% 전류를 작게 위보기는 아래보기의 20~30% 작게 주는 것이 적당

24.   아아크 길이가 길  때 일어나는 현상은?

아크길이 불안정으로 작업이 곤란하고, 열의 비산으로 용입이 나빠짐, 스패터가 많이 생기고, 오버랩의 원인이 된다. 또한 공기의 접촉이 커져 산화나 질화,기공,균열의 원인이 되며 비이드가 더러워 보인다

25.   부저항 특성이란? 전류가 크면 저항이 적어져 전압도 낮아지는 현상

26.   전압회복 특성이란? 아아크 용접전원은 아크가 중단된 순간에 회로의 과도전압을 급격히 상승 시키는 특성을 말한다

27.   절연 회복 특성이란? 보호가스에의해 순간적으로 꺼졌던 아크가 다시 일어나는 특성

28.   직류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은?     약간 낮음 60V 가 최대값

29. 교류 용접기의 종류를 나열하라. 가동철심형, 가동 코일형, 탭전환형, 가포화 리액터형

30.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철심에 의한 자속의 변화로 전류를 조정하는 방식의 용접기명은?

가동 철심형

31.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서 전류를 조작하는 용접기는? 가동 코일형

32.   가변저항에 의한 조절로 전류를 조정하며 원격제어장치 부착이 용이한 용접기는?

가포화 리액터형

33.   미세한 전류조정이 힘들며 반드시 아아크를 중단한 상태로 전류를 조정해야하는 용접기는?

탭 전환형


34.   교류 아아크 용접기의 KSC규격은? 용접봉이 녹는 속도가 아아크 길이와 전압에 거의 관계가 없고 용접 전류의 세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입력(㎸A)이나 출력(㎾)으로 표시 하지않는다

35.   500A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의 제한 폭은? 95V 이하

36.   직류 아아크 용접기의 종류는?

발전기형 직류아아크 용접기(전동발전식,엔진구동형)

정류기형 직류 아아크 용접기

직류아아크 용접기

37.   정류기식의 반도체 소자를 나열하고 각각 소실온도를 제시하라. 80℃: 셀렌 150℃ : 실리콘

38.   수하 특성이란?

전류와 전압간의 관계 즉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 전압은 반대로 낮아지는 특성을 말한다

39.   CP 즉 정전압 특성이란?

부하 전압이 변하여도 단자전압은 거의 변하지 않는 특성을 정전압 특성이라고 한다

40.   자동이나 반자동 용접에 사용되는 가는 지름의 나체와이어에 큰 전유가 통할 때 일어나는 용접기의 특성은? 상승특성

41.   사용율 공식은?

사용율 =      아아크 발생시간       

          아아크발생시간 + 정지시간     X 100

42.   허용 사용율 공식은?

허용 사용율  =  (정격2차전류)²

                (실제 용접전류)²    X 정격 사용율(%)

43.   무부하 전압 80V, 아아크 전압 30V, 아아크 전휴 200A 의 경우 효율과 역율은? 

효율 = 60%   역율 = 62%

44.   전력용 콘덴서를 용접기의 1차측에 병렬로 접속하는 방법의 잇점은?

1차 전류를 감소하면 전원입력이 작게되어 전력요금이 싸게 된다

전원용량이 작아도 된다 또 같은 전원용량이면 많은 용접기를 접속할수 있다

45.   전격 방지기를 부착했을 때 무부하 전압은?   20~30V

46.   아아크 부스터 (핫 스타트) 장치 사용시 장점을 나열하라.

- 아아크 발생을 쉽게 한다

- 기포 발생을 방지 한다

- 비이드 모양 개선, 아아크 초기 용입을 좋게 한다

- 무부하 전압을 70V 이하로 저하 할수 잇으며 전격의 위험이 감소된다

47.   A형 호울더 란?   절연이 완전한 안전호울더 이다

48.   커넥터란? 길이가 긴 용접 케이블이 필요 할 때 케이블 취급이 편리하도록 15~20㎜정도 케이블을 이어서 사용

49.   용접기의 용량이 AW200,AW300,AW400 일 떄 사용되는 1차측 케이블과 2차측 케이블의 규격은?용접기 용량이 200A, 300A, 400A등인때 1차측 케이블의 지름은 각각 5.5㎜, 8㎜, 14㎜가 적당 하고 2차측 케이블의 각각의 단면이 50㎟60㎟,80㎟적당하다

50.   다음과 같이 용접할 떄 차광유리의 번호는?

①       100A-9

②       200A- 10

③       300A- 12

④       가스 용접시- 4~6

⑤       납땜시- 2,3,4번

51.   아연, 홍동, 카드뮴, 납, 합금, 용접시 착용하는 보호구는?  - 방독 마스크

52.   피복제는 용접봉 무게의 몇%인가?  -60 , 전체무게의 10%

53.   용접부 보호방식을 분류하라.

①       가스 발생식(gas shield type)

②       슬래그 생성식(slag shield type)

③       반가스 발생식(half gas shield type)

54.   용융금속 이행형식을 나열하라.

①       단락형 (short circuit transfer type)

②       스프레이형 (spray type)

③       글로뷸러형 (globular type)

55. 맨피복봉이나 박피복봉에서 일어나는 이행형식은? 단락형 (short circuit transfer type)

56.   알미나이트계, 고상화티탄계 용접봉의 이행형식은? 스프레이형 (spray type)

57.   저수소계, MIG, 써브머지드 용접봉의 이행형식은? 글로뷸러형 (globular type)

58.   피복제의 작용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은?

①       아아크를 안정시킨다.

②       중성 또는 환원성 분위기를 만들어 진화나 산화를 방지하고 용융금속을 보호한다.

③       용적 (녹은 쇳물 방울) 을 미세화 하여 용착효율을 높인다.

④       용착금속의 탈산, 정련 작용을 한다.

⑤       용착금속에 필요 원소를 첨가한다.

⑥       용착금속의 냉각속도를 느리게 한다.

⑦       수직자세, 위보기 자세들 어려운 자세를 쉽게한다.

⑧       슬래그의 제거를 쉽게한다.

⑨       전기절연 작용을 한다.

59.   무기물식 용접봉의 피복제의 성분은 주로 무엇인가?   규사, 석회석

60.   유기물식의 용접봉 피복제의 성분은? 셀룰로우즈

61.   아아크 안정제의 종류를 나열하라. 산화티탄, 규산나트륨, 석회석, 규산칼륨

62.   탈산제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규소철, 티탄철, 망간철

63.   합금 첨가제를 제시하라. 망간, 실리콘, 크롬, 니켈, 구리, 바나듐

64.   고착제의 종류에는?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65.   용접봉의 편심율 공식은?

편심률(%) = D'- D

             D'     X 100

66.   연강용 피복 아아크 용접봉의 심선재질은? 저탄소 림프강이나 황,인등이 적게 함유되어야함

67.   용접봉 심선의 지름과 길이의 허용 오차는?   ±0.05㎜  3㎜

68.   강의 5대 합금원소와 성질상 특성은? 탄소C 규소Si 망간Mn 인P 황S

69.   E43△□에서 E, 43, △, □의 각각 뜻은? 용접자세, 피복제 종류

70.   용접자세 중 0, 1, 2, 3, 4 의 뜻은? 0,1은 전자세 2는 아래보기 수평필릿 3은 아래보기 4는 전자세 또는 특정자세

71.   다음의 기호를 설명하라.

A.       E4301- 일미나이트계

B.       E4303-라임티타니아계

C.       E4311-고셀룰로오스계

D.       E4313-고산화티탄계

E.        E4316-저수소계

F.        E4324-철분 산화티탄계

G.       E4326-철분 저수소계

H.       E4327-철분 산화철계

I.          E4340-특수계

72.   상기 용접봉 중 기계 적 성질이 가장 우수한 것은? E4303

73.   박판에 가장 적합한 용접봉은? E4303

74.   배관용접에 적합한 용접봉은? E4311

75.   고장력강의 인장강도와 항복점은 얼마 이상인가? 50kg/㎟이상, 40Kg/㎟이상

76.   고장력강의 합금 요소를 나열하라. Mn, Si, Ni, Cr

77.   고장력강 사용시 잇점을 설명하시오.

- 동일한 강도에서 판의 두깨를 얇게 할수 있다

- 구조물의 자중(자체중량)을 경감시킬수 있어 기초공사가 간단해진다

- 재료취급 간단,가공이 적어도 됨

78.   스테인레스강의 종류를 나열하라.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석출경화형

79.   표면육성용 피복 아아크 용접봉의 종류와 기호를 쓰시오.

A.       (DF 2A – 고산화 티탄계)

B.       (DF 2B - 저수소계)

C.       (DF 3C – 저수소계)

80.   용접봉의 건조 온도와 시간은?

A.       저수소계 –  300~350℃로 2시간 정도 유지

B.       일반 용접봉 – 70~100℃로 30분에서 1시간 정도 유지

81.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전류 ) 비례하나?  전류

82.   피복아아크 용접시 운봉폭은? 3-6㎜

83.   전류 조정시 변수 요인은?

모재의 재질, 두께, 용접봉, 직경, 용접자세, 용접부의 형상에 따라 조정

84.   전류가 높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언더컷이 많이 생기며 스패터가 많이 발생한다

85.   전류가 낮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아아크 유지가 힘들며, 용접봉이 자주 단락되고 슬래그 혼입의 우려

86.   아아크 길이는?

아아크의 길이가 너무 길면 용입이 적고 표면이 거칠며, 아아크가 불안정해지고 스패터의 발생이 많아진다, 반대로 아아크 길이가 너무 짧으면 용접봉이 자주 단락되고 슬래그 혼입의 우려가 있다

87.   용접 결함 중 치수상의 결함은 어떤 것들이 있나? 변형, 치수불량, 형상불량

88.   구조상의 결함은? 기공 및 피트, 은점, 슬래그 섞임, 용입불량(부족), 융합불량, 언더컷, 오버랩, 균열, 선상조직 등이 있다

89.   언더컷이란? 용접끝단에 생기는 모재가 파인 가는 홈

90.   오우버랩이란? 융용금속이 모재와 융합되지 못하고 표면에 덮쳐진 상태

91.   토우균열이란? 맛대기이음, 필립용접 등의 어느 경우이든지 비이드 표면과 모재와의 경계부에 발생하며 반드시 벌어져 있기 때문에 침투 검사로 검출 할 수 있다

92.   라미네이션이란? 모재 재질의 결함으로 강괴일 때의 기포가 압연되어 생기는 라미네이션은 설퍼 밴드와 같이 띠 모양으로 존재 하여 강재 속에 노치를 형성한다

93.   선상조직이란? 용접금속의 파단면에서 볼수 잇는 상주상 즉 겨울의 서리발 같은 형태의 조직을 말하며 부서지기 쉬운 파단면의 일종

94.   기공과 피트의 원인은?

- 아아크 분위기 속에 수소, 산소, 일산화탄소가 너무 많다

- 용접종 또는 용접부에 습기가 많다

- 용접부가 급냉할 때

- 이음부에 기름,페인트,녹 등이 부착해 있을 때

- 아아크 길이 운본법이 부적당 할 때

- 과대 전류 사용시

95.   설퍼밴드의 원인은? 강재(鋼材) 중에 생긴 유황의 편석이 압연 공정 중에 띠모양으로 벌어진 것. 특히 용접 금속이 응고할 때 수소 등이 이 층에 집적하여 취화해서 설퍼 크랙을 일으켜 쪼개지는 위험이 있다.

96.   크레이터를 우리말로 한다면?

아아크를 발생하여 비드를 형성 하다가 아아크를 중단 시키면 비이드 끝이 오목하거나 납작하게 파진 모습

97.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 가능한 용접기는? 엔진 구동형

98.   감전시 인체에 미치는 정도를 설명하라.

A.       10mA – 쇼크(고통을 수반)

B.       20mA – 고통,근육마비

C.       50mA – 근육수축,호흡곤란

D.       100mA – 사망위험

99.   위험표시의 색깔은? 적색

100. 송전 중 수리 중에 표시색은




1. ASME 코드에서 용접 재료관련 코드는

2. 왜 용접기 사용은 전류의 좌승에 비례하여 사용을 제한하는가

3. 압력의 단위는 무엇인가

4. 수압시험과 공기압 시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5. 열처리시 온도측정은 / 열전대 관리 방법은


기타 등등

'용접 기술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mper Bead에 관하여  (0) 2006.06.30
용접 시험과 검사  (0) 2006.06.27
Free Heating  (0) 2006.06.25
용착량  (0) 2006.06.24
용접 시방서  (0) 200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