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 기술사관련

Free Heating

dansseam 2006. 6. 25. 13:03
 

저온 균열을 피하기 위한 최저 예열온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T°(C) = 1440 Ph - 392


이중 Ph(용접균열 감수성 지수)는

Ph = Pcm + 0.093 Log H + (K/40,000)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Pcm과 H, K는 무엇이며 용

접균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답>

우선

T°(C) = 1440 Ph - 392,

Ph = Pcm + 0.093 Log H + (K/40,000)


이것은 

Ph = Pcm + H/60 +t/600(%)

또는

Ph = Pcm + H/60 + K/40,000)로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T℃ : 예열온도


Pcm : 용접균열감수성 조성율(%)=C+Si/30+Mn/20+Cu/20+Cr/20+Ni/60+Mo/15+V/15+5B

즉 이것은 탄소당량에 의해 결정됨


H : 용접봉의 확산성 수소량(mℓ/100g)


K : 용접계수의 구속도(kg/mm.mm)를 말한다.


여기서 Pcm이 높으면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며 Pcm은 탄소의 영향이 가장 크며

기타 원소에 의해서도 영향이 주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거기에 수소의 함유량과 구속도가 클수록 균열의 발생 우려가 커진다고 할 수 있다.



1. 용접부의 예열의 목적과 예열온도 결정 방법


1) 예열의 목적

용접부의 냉각속도를 낮추어 열영향부의 mart`ensite 조직의 생성을 방지함에 있다.

즉, 경화도를 낮추어 균열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정 예열온도란 용접열영항부(HAZ)에 전혀 martensite 조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냉각속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예열온도를 말한다.

그러나 사실 실현 불가능하며 그 이유는 이음부의 형상, 하중의 종류, 재질의 연성과

인성의 차이 등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2) 예열온도 결정 방법

국제용접학회(IIW)에서는 열영향부의 최고경도(Hv : 비커스경도)를 350 이하가 되도록

냉각속도를 갖도록 예열하는 온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적정 예열온도의 결정은 모재의 C.C.T곡선(연속냉각변태곡선)에서

허용경도 이하(Hv 350 이하)로 되는 곡선을 찾아 그 경도가 되도록 하는 일정 온도구간

(800~500℃)의 냉각 소요시간을 구한 후 냉각온도를 측정하는 노모그래프에서 예열온도를 결정한다.

'용접 기술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 시험과 검사  (0) 2006.06.27
용접 면접 질문  (0) 2006.06.26
용착량  (0) 2006.06.24
용접 시방서  (0) 2006.06.23
비파괴 검사  (0) 2006.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