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제작기술사

나사 걸림률

dansseam 2007. 1. 12. 03:31
 1. 나사 걸림률  
 

수나사의 나사산과 암나사의 나사홈이 서로 맞물리는 높이와 기준 나사산형의 높이와의 비율을
걸림률이라고 한다. 즉, 볼트의 나사산과 너트의 나사산이 서로 물려있는 양을 비율로 표시한 것이다. 이것을 식으로 표현 하면 아래와 같다.

(수나사 외경 - 암나사 내경)
걸림률(%)=

x 100
2 x 숫나사산의 기준높이

걸림률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걸림률이 크다면 나사산 끼리의 결합이 강하게 되어 있어
더 큰 힘으로 조일 수 있으나 조임 작업에 많은 힘이 들어 가게 된다. 반대로 걸림률이 작다면 결합 및 해체가 쉬운 반면 큰힘을 지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큰 힘이 걸리지 않는 경우는 걸림률을 작게 하는 등 나사의 선택이나, 탭구멍을 설계할 시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수나사의 크기가 정해져있는 상황에서 결합모재에 나사구멍을준비할경우
 

나사산의 강도는 나사산의 단면적에 비례하게 된다. 걸림률에 따른 나사산의 단면적 변화를 보기 위해 수나사 호칭경(외경)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암나사의 내경을 변경하여 걸림률을 계산해 보았다.
 
( 괄호안의 숫자는 누계합을 나타냄 )
 

나사산의 강도는 나사산의 단면적에 비례하게 된다. 걸림률에 따른 나사산의 단면적 변화를 보기 위해 수나사 호칭경(외경)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암나사의 내경을 변경하여 걸림률을 계산해 보았다.
상기 그림에서와 같이 암나사산의 단면적을 작은 삼각형(45개)으로 분할했다.
만일 걸림률을 60%로 가정한다면, 암나사의 나사산의 면적은 33개의 작은 삼각형이므로73.3%(33/45x100)가 된다. 걸림률을 80%로 가정하면 암나사의 나사산의 면적은 40개의
작은 삼각형이므로 89%(40/45x100)가 된다 상기 결과를 보면, 걸림률이 작아지는 것에 비하면
단면적의 줄어듬은 작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암나사의 경우 내경에 해당하는 구멍을 드릴작업을 통해
가공한 다음 탭으로서 나사산 부위를 만들게 된다. 이렇게 내경에 해당하는 구멍을 밑구멍이라고 하며 밑구멍의 지름값을 결정하는 것이 물림률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밑구멍지름
(암나사 내경)
걸림률 (%)
= 호칭경 - 2 x (0.541266 x 피치 ) x
  100

밑구멍의 지름은 가능한 크게 하여 탭으로 절삭해 내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탭에 걸리는 절삭 부하도 적어 가공이 용이하고 공구의 수명도 길어진다.

예) 호칭경이 M10x1.5 이고 h7의 공차를 갖는 나사를 60%의 걸림율을 채택한다면

수나사 외경의 최대값 = 10.0

밑구멍 지름 = 10.0 - (2*0.541266*1.5*60/100) = 9.026

수나사 외경의 최소값 = 9.985

밑구멍 지름 = 9.985 - (2*0.541266*1.5*60/100) = 9.011
상기 결과에서 h7의 공차값인 0.015의 차이는 걸림률로는 0.9% 정도의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밑구멍을 설계할 때는 공차를 무시하고 호칭경으로 계산해도 무리가 없다.
(본 예는 절삭탭에 의한 가공에 적용되며 전조 가공을 하는 무절삭탭-무홈탭이라고도 함-에 의한
경우는 적용되지 않음)

 2. 나사체결방식의 결정  
 
관통볼트(through bolt)
 
   
1. 일반적 형태의 볼트로 조립물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되는 경우이다.
2. 너트에 의한 조임 토크 규제가 비교적 정확하다.
3. 볼트 머리의 회전 방지 작업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4. 돌출한 나사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탭볼트(tap bolt)
 
   
1. 일반적 형태의 볼트이나 체결되는 물체에 암나사가 있어 너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나사부가 돌출되지 않는다.
3. 조임 토크 규제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나사부를 통해서 누유될 수 있다.
4. 반복해서 조립과 해체를 행할 경우 나사산이 손상될 수 있다.
5. 암나사 구멍의 깊이는 볼트보다 2~3깊어야 하며, 암나사 재질에 따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 d:나사의 호칭경 】
모재 재질
M8 이하
M8 이상
동, 청동
1.5~1.7 d
1.0~1.2 d
주철, 강
1.5~1.7 d
1.3~1.5 d
경금속
1.8 d
1.8 d
 
 
스터드 볼트(stud bolt)
 

1.

너트 조임을 하고자 하나 관통 볼트용 구멍을 뚫을 수 없는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2. 스터드 볼트의 삽입부를 모재에 박아 돌출부에 부품을 부착하고 너트로 조임을 하는 방식이다.
3. 박음 깊이에 대한 설계 기준은 다음과 같다.
 
【 d:나사의 호칭경 】
모재 재질
체결깊이
밑구멍깊이
동, 청동
d
체결깊이+2~3피치
주철
1.3d
경금속
1.8 ~2.0d

'기계제작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활제  (0) 2007.01.12
요소-나사-마찰장력  (0) 2007.01.12
요소-베어링형식  (0) 2007.01.08
밸트콘베어 설계법  (0) 2007.01.08
요소-후렌지크기  (0) 2007.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