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냉간가공 또는 야금적 변태 등에 따라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것.
(2) 표면가공 또는 표면처리, 다듬질 등에 의한 단면이 급변하는 부분을 피할 것.
(3) 열 또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잔류응력을 완화시킬 것.
(4) 가능한 응력 집중부에는 용접 이음부를 설계하지 말 것.
(5) 국부 항복법 등에 의하여 외력과 반대방향 부호의 응력을 잔류시킬 것.
'용접 기술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층 용접에서 가로 수축 (0) | 2006.09.09 |
---|---|
구조물의 취성파괴에 대한 역학적 평가법으로 응력세기계수를 이용 취성균열 발생과 전파정지의 관점에서 설명하여라 (0) | 2006.09.09 |
용접구조물의 피로수명에 미치는 인자들을 열거하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0) | 2006.09.09 |
용접부의 잔류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용접변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변형을 교정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시오 (0) | 2006.09.09 |
용접변형의 방지대책을 기술하시오 (0) | 200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