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크용접시 발생되는 재해
아크용접은 전기를 사용하므로 전격(감전)을 받을 우려가 아주 많으며, 강렬한 아크 불빛에 의한 결막염 등의 안염을 일으키기 쉽고, 스패터에 의한 화상, 유해가스에 의한 중독, 특히 밀폐된 부분에서 용접시 질식 등을 당하기 쉽다. 또한 스패터나 화기로부터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우려가 아주 많으므로 작업 전에 재해의 요소를 제거한 후 용접작업에 임해야 한다.
2. 재해 방지 대책
1) 무부하 전압이 높은 용접기를 사용하지 말 것.(보통 80 -90 V)
2) 가죽 장갑 등 보호 용구를 착용할 것.
3) 스위치, 케이블, 용접기의 점검을 자주할 것.
4) 여름철 또는 좁은 작업장소에서는 용접자의 신체가 열기로 인해 땀에 젖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책을 세워둘 것.
5) 작업을 쉬고 있을 때에는 잘못 접촉될 염려가 없는 장소에 홀더를 놓고, 반드시 나무상자 등의 절연체 위에 놓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장시간 쉴 때에는 반드시 스위치를 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6) 높은 곳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약간의 쇼크에도 추락하여 사망할 염려가 있으므로, 특히 주의를 요한다.
7) 만일 감전됐을 경우를 생각하여, 아무도 없는 외딴 곳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반드시 두 사람 이상을 배치하여 서로 주의하면서 위험을 방지하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문제7-2. 전기용접 작업시의 재해와 그 방지대책을 쓰시오.(30-4-3)
1. 아크 광선에 의한 눈의 재해와 대책
전기용접시에 다량의 자외선과 소량의 적외선이 발생하므로 아크 빛이 직접 혹은 반사하여 눈에 들어오면 전광성 안염 또는 일반적으로 전안염의 눈병이 생긴다. 급성의 경우는 아크 빛을 받은 후 4-8시간 후 발병, 24-48시간 정도에 회복되며 자주 있으면 만성 결막염이나 심하면 실명의 우려가 있다.
방지책으로는 작업시 반드시 차광도가 적당한 차광유리가 끼워진 보호구(헬멧, 핸드실드)를 사용하며, 타인의 작업시 아크 빛을 보지 말아야 하며, 눈이 충혈된 경우 냉습포를 하며, 안염이 심하면 병원에서 의사의 지시를 받아야 된다.
2. 아크 광선에 의한 피부의 재해와 대책
아크 빛이 피부에 닿으면 열에 의해 화상을 입어 피부가 빨갛게 되며, 심하면 피부가 벗겨지게 된다. 방지책으로는 작업복이나 보호구를 착용한 후 작업을 해야하며, 화상시는 화상연고를 바른다.
3. 스패터에 의한 화상, 화재와 대책
스패터가 노출 피부나 옷깃 사이, 신발 속 등에 들어가 화상을 입는 경우가 많으며, 대책은 앞치마나 팔카바의 사용, 내열성이 큰 작업복의 착용 등 복장을 잘 갖추고 작업해야 된다. 또한 주위에 인화물질이 있는 곳에서 용접해서는 안되며, 소화기를 준비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4. 전격에 의한 재해와 대책
인체에 흐르는 전류 값은 통전 장소와 시간에 따라 다르나 보통 10[mA]에서는 견디기 어려운 고통을 당하며, 20[mA]에선 근육수축, 50[mA]에서는 상당히 위험하며, 100[mA]에서는 치명적인 사망을 당하게 된다. 이 전류값은 사람 몸에 걸리는 전압을 인체의 저항값으로 나눈 값으로 전압이 높을수록 또는 인체에 전기저항이 작을수록 위험하다. 또한 피부에 습기가 많으면 저항값이 낮아지므로 낮은 전압에서도 위험하다.
전격 방지책으로는 용접기의 전압이 필요이상 높은 것을 사용하지 말 것이며, 자동 전격방지장치가 부착된 용접기를 사용하고, 안전홀더 사용, 노출부의 절연, 전격위험 장소에서 작업금지, 작업종료시 스위치 차단, 스위치 개폐는 안전하게 할 것이며, 전격을 받은 사람 발견시는 즉시 스위치를 차단하고 환자를 감전부에서 충격적으로 떼어낸다.
5. 가스중독에 의한 재해와 대책
아연도금강판이나 관의 용접 또는 맹독성 용접물의 용접, 좁은 공간이나 지하실 등에서 용접시 가스중독 또는 질식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방독마스크 착용과 용접장소의 환기시설, 강제 공기순환, 감시인의 배치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용접 기술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부의 잔류응력 완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06.09.09 |
---|---|
용접 잔류응력의 생성원인과 그 문제점 및 개선 대책을 설명하시오. (0) | 2006.09.09 |
용접기의 외부 특성 곡선 (0) | 2006.07.17 |
용접입열과 사례 (0) | 2006.07.13 |
저합금강의 후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 PWHT) (0) | 2006.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