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새로운 형태의 센서가 오늘날 사람의 손이 수행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로봇에게 표면을 느끼고 정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지도 모른다.
미국 링컨(Lingcoln)에 위치한 네브래스카 대학교(University of Nebraska)
화학공학과의 비벡 마헤스와리(Vivek Maheshwari)와 라비 사라프(Ravi Saraf) 교수는 6월 9일자
'사이언스(Science)'에서 이 새로운 디바이스에 대해 발표했다.
이 센서는 인간의 손가락과 비견될만한 촉각 민감도를 로봇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를 구비한 로봇은 신체의 매우 특정한 영역에 대해 작은 절개부를 만들어 소형의 도구를 사용하는 최소 침습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새로운 센서는 압력과 결(texture)에 반응하여 빛을 내는 전계발광
필름(electroluminescent film)이다. 물체가 이 필름에 압력을 가하면 필름에서 발생하는 빛이 특수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어
사진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1센트 동전으로 이 필름을 누르면 동전에 새겨진 아브라함 링컨의 옷에 있는 주름이 보일 정도의 상세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의사들이 종양이나 담석을 찾기 위해 촉각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 센서 필름은 로봇의 손에 코팅되어,
로봇 수술 수행에서 로봇을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비전만을 사용해서는 쉽지 않은 복잡한 물체를 조작하고 형상, 결, 단단함을
탐지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을 개발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이 새로운 필름은 교차하는 금박층과 반도체 성질을 가지는 카드뮴-황
나노입자층, 이 둘 사이를 분리하는 유전체 필름으로 구성된다. 나노입자는 직경이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정도인 매우 작은 입자이다.
촉각 센서의 개발은 로보틱스 및 최소 침습 수술의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기술적 도전과제 중 하나이다. 마헤스와리와 사라프가 개발한
이 독특한 센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강인하고 높은 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로보틱스 분야에서의 중요한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어핸들을 잡는 것만으로 본인 인증이 가능한 기술 개발 (0) | 2006.07.14 |
---|---|
소형 3차원 입체형상 고속가공기 개발(HisRP: High-Speed Rapid Prototyping Machine) (0) | 2006.07.08 |
형상 기억 합금 (0) | 2006.06.30 |
세계및 국내 조선업의 동향 (0) | 2006.06.30 |
광케이블를 이용한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 (0) | 2006.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