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부식 방지 기술.사용약품.delta ferite
1.SUS 부식방지 기술의 질문에 용접시 발생되는 부식방지 대책으로 보면
-SUS 304L . 308L과 같이 탄소 함량을 0.02%로 규제하여 Cr탄화물이 생성되는 것 방지
-Ti및 Nb을 첨가 Austenite Stainless 에 첨가하여 TiC 또는 NbC를 생성하여 Cr 탄화물이 형성
하지 못하게 안정화 처리
-고용화 열처(용접후 1010~1120도씨로 적당 시간 가열 석출탄회물 재고용 시킨 후 급랭
-용접중 냉각(용접 이음부 표면에 backing 또는 427~870도씨 예민화 온도범위에서 급랭시켜
크롬탄화물 형성 억제
-용접 열영향부를 표면이 아닌 금속 내부로 이동시킨다
2..SUS 구조물 용접후 부식방지약품은 별도로 있다고 보지 않읍니다.
3. Delta ferrite
-Stainless steel은 말 그대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금속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고
일반적인 것이 TP304(SUS304)가 되겠고요 그 조직은 Austenite가 됩니다.
그러나 금속조직이 100% Austenite가 되는 경우 금속의 조직이 조대해지고 입계에 편석이
발생하여
고온균열의 감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기계가공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가공성이 나빠지
고 이러한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완전한 Austenite 조직 대신 일정량의 Ferrite 조직이 공존하게
하는 것이 Delta ferrite 입니다.
그러나 Ferrite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질 경우 역시 기계가공성을 나쁘게 할 뿐 아니라
Stainless steel의 기본성질인 내식성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최적의 Stainless steel의 성질을 유
지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Ferrite량의 조절이 필요 하겠죠.
이러한 적정한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에는 용접재료, 모재의 선택 및 용접조건의 조절로 가능하며
결과적인 Ferrite량은 각종 Ferrite 측정기나 현미경 조직검사 등으로 측정하거나 Scheffler 선도 등
을 이용하여 측정 합니다.
-역활과 측정방법과 형성인자 용접 편람(대한용접 학회지)를 참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