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점검 방법
아래 정리 내용은 제가 2004년 설비 점검방법을 체계화 시키고자 제가 근무하고 있는 발전소
설비에 맞는 점검방법을 경험상을 토대로 정리 한것이며 실제로 2004년 66회 74 면접 질문
내용 이었음을 밝히는 바이며 점검방법의 분류를 주내용으로 대답을 했었으며 그당시 면접
점수는 괜찮게 나왔던 것 같읍니다.
1. 개 요
구미 열병합 발전소 상업운전을 시작한지 10년 이상이 넘으면서 단위기 노후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Mill 감속기 이상마모, S/B감속기 파손 등 손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단위기기
불만이 내재하는 한 언제든지 Umit-Trip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무사고 운전을 달성하기 위해 단위기기 안정화를 위해 설비 점검방법과 운영방식
을 개선하고자 선정하였으며 이론보다 현장실무 위주로 하였으며 따라서 이론과 약간 다
르거나 다른 사람과 의견이 다를수도 있음을 미리 밝히면서 양해를 구합니다.
2. 현 상 파 악
(1) 점검방법 분류
1) Routime check
일상점검으로 Log sheet item 에 의해 단위기기 이상유무를 계기치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2) Start - up check
단위기기의 운전에 앞서 작업완료 유무, 기동조건 만족, 운전시위해 요소 제거등 기
도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월간 교체운전, 단위기기 작업완료 등에 시행한다.
3) Shut Down check
기기의 정지 전후로 점검하는 것으로 정지후 Stand - by 작업실시 여부등에 따라 약
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정지 상태에 기기의 보호에 중점을 두어 점검.
4) Emergency check
단위기기의 이상점 징후가 나타 나거나 비상정지 되었을때 고장이나 이상 상태를 파
악코져 시행하는 점검으로 필요에 따라 관련부서와 협조가 요구되며 즉각적인 대처가
장 중요하다.
(2) 기기별 점검방법 분류
단위기기를 회전기기, 압력용기, 배관류, 변압기, V/V등으로 대분류하고 점검방법에
따른 단위기기 항복을 세분한다.
1) Routime check
① 회전기기
- Log sheet에 의한 지시치 : 온도, 유량, 압력
- 윤활상태 : Lube oil p/p PR`, oil levl , oil 변생, oil Leak 여부
- 발열여부 : 온도계점검, 촉수에 의한 점검, CRT에 의한 점검.
- 기 타 : 외관, CLG sys, 진동, 소음 및 이음 check 작업시행 여부.
② 압력용기
- 누설 : Packing, Gasket 소손에 의한 누설, DRN Trap 및 V/V passing.
- 지시치 점검 : PR` , Level, Temp 등
- 기 타 : 관련 V/V 조작상태
③ 배관유
- 누설유무 : 육안, 청각 등에 의한 이음, 누설 및 본체 손상유무 점검.
- 기 타 : 보온, 외관, 지지장치 (hanger, support) 이상유무 점검 및 관련 V/V
조작상태 점검.
④ 변압기류
- 계기에 의한 점검 : Winding temp , oil level 정상유지 여부 점검.
- 냉각장치 점검 : CLG FAN 이음, 발열여부.
- 누유점검 : 변압기유 누류 육안 점검, 누유 예상 개소 순시.
- 운전상태 : Tap 절환장치 정상여부, 시건장치, signal lamp, silicagal변생유무, 중성
점 접지 상태
- 기 타 : 변압기 외관 변형, 부식 유무, 기기 이물질 부착 유무.
⑤ V/V 류
- 상태점검 : 조작상태, Gland 누설유무, Handle 및 Body 파손유무를 육안점검.
2) Stsrt - up check
① 회전기기
- 작업완료 유무, 기동장해 요소 파악, Red Tag 회수, BKR 투입
- 기동조건 점검 : hand Turning, Damper, V/V 위치,칳 sys`, Lube oil sys`
② 압력용기 점검
- 관련 V/V점검 : In / out let V/V 조작상태, Drn V/V 및 Trap 상태, safety V/V
상태
- 계기 점검 : PR` gauge 작동, level gauge 정성적 동작 점검.
- 기타 : 외관, 보온, 누설, 관련기기 등의 이상유무를 육안으로 점검.
③ 배관류 점검
- 준비상태 : Warming 여부, 관련 V/V조작상태점검.
- 기타 : 외관, 보온, 누설, 관련기기들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점검.
④ 변압기
- 준비상태점검 : 작업완료 및 관련 S/W 조작상태, Red tag 회수여부, 접지상태
점검
- Silicagel 상태 육안 점검.
- 냉각장치 : CLG fan 및 oil level 등을 청각, 육안으로 점검.
- 기 타 : 외관상 손상기기 이물질 부착여부 점검.
3) Shut Down Check
① 회전기기
- Hand Turning , Danper , level의 정상위치 확인
- L/O sys` : L/O pump 운전상태, oil level, PR` , temp 등 점검.
- 기 타 : 외관 및 stand - by 기기 상태, 작업준비 상태 점검.
② 압력용기
- 관련 V/V 조작상태, 유체의 배출유무등 점검.
③ 배관
- DRN V/V조작상태, 지지장치 점검
④ 변압기
- 정전으로 인한 관련기기의 정지에 따른 문제점 파악
- 접지 상태 점검 및 S/W 조작 상태.
⑤ V/V류
- 조작에 따른 관련기기 문제점 파악 및 Valve 조작상태 점검.
4) Energency Check
① 회전기기
- 계기에 의한 점검 : 압력, 유량, 온도, 진동 등 점검.
- 윤활상태 점검 : Lube oil pr`, level, oil 변색유무 등을 육안 점검.
- Realy 동작여부 또는 동작된 Realy 확인
- 기타 외관의 손상, BRG의 발열, 이음, 손상등을 청진봉, 촉수, 육안점검.
② 압력용기
- Relief V/V, Safety V/V 동작여부 점검.
- 계기에 의한 점검 : 압력, level 등의 변화 점검.
- 관련 V/V의 조작상태, 파손유무 점검.
- 외관 점검 : 누설, 파손등을 육안, 청각에 의하여 점검.
③ 배관
- 이음부분 및 본체 누설 유무를 육안, 청각에 의한 점검.
- V/V조작상태 및 지지장치 점검
④ 변압기류
- Relay 동작여부
- 계기에 의한 점검 : Winding temp , oil temp, level 점검
- 냉각장치의 정상적 동작여부 점검.
- 외관 점검 본체 발열, 냄새 발생 점검.
⑤ V/V류
- 파손, 누설 여부, 조작상태.
3. 문제점 도출
위 분류중 가장 많이 시행되며 운전근무자가 실제로 단위기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
있을때는 Routine check 라 할수 있다.
CRT에 나타나며 운전중 이상 발생시 경보장치 동작 되거나 Stand - by 기기 운전 되는
등 충분한 보호장치 설치되어 있으나 주요 부속 장치의 이상은 감지 않되는 주기기 불
시정지 위험을 안고 있다 하겠다.
예를 들면 Mill 경우 진동, 온도, 운전 상태는 CRT로 감시가 가능하지만 Lube oil P/P
운전상태는 제어실 감시 불가능하여 L,O P/P 손상 L,O Pr` 저하로 인한 이상 정지는
피할수 없다.
특히 회전기기 점검시 오감을 이용한 BRG 점검시 정확한 진동값에 대해 청각, 촉각,
경험등에 의존하고 있어 판단이나 정확성을 전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
(1) 이음 점검의 문제점
1) 청각에 의한 판단
순시중 청각에 의한 이음 감지시 그 기기의 손상이 이미 진행된 상태이다. 또, 같은
이음이라도 주변기기 소음, 주야 시간대 차이, 개인 능력에 따라 다를수 있다.
2) 청진봉에 의한 점검
청진봉에 의한 점검은 개인의 경험과 능력에 의존해야 한다.
3) 이음 발생이 서서히 진행되면 느끼지 못하거나 자주 듣게 되면 이상 없는 것처럼 느
낄수 있다.
(2) 진동 점검
1) 촉수에 의한 진동 점검은 이상을 느끼기 어렵고 변화나 정확성을 기대하는 것은 불
가능 하다.
2) 이런 기기들은 진동 변화나 크기를 추적할수 없기 때문에 원인이나 상태를 파악할수
] 없을때도 있다.
3) 진동 감지를 Vibration meter 로 측정해도 기기 상태에 따라 운전 계속 여부를 객관
적으로 판단하는데 어려운 경우도 있다.
(3) 온도 점검시 문제
1) Gauge 가 설치된 기기는 Sheet 기록 , CRT 등으로 현재 온도와 변화를 알수 있으나
계기 설치되지 않은 기기는 촉수에 의해 판단 정확성 기대를 어렵다.
2) 촉수판단기준
- 기기 본체 BRG housing를 손으로 만져 30초 정도 뜨겁게 느끼지 않으면 양호.
- 손대고 20-30초 지나 뜨겁게 느끼면 약 40-50℃
- 2 - 3초 지나 손못댈 정도면 50℃ 로 위험한 상태로 판단.
3) 위 촉수에 의한 방법은 기기 상태 양호한가 불량한가는 판단할수 있지만 온도
의 증감은 알수 없고 모든 기기들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4. 개선방향
(1) 점거방법개선
1) 이음점검
① 회전기기 이음발생여부는 청진봉을 이용하여 점검함을 원칙으로 한다.
② 이음 감지시 관리카드를 만들어 기록한다.
③ 이음 상태는 정상적으로 기록 예 : 약, 보통 , 큼
④ 기록된 기기는 지속적으로 집중 점검하여 변화를 느끼도록 한다.
⑤ 필요에 따라 온도, 진동 변화도 기록.
2) 진동 점검
① 제어실 또는 현장에 진동치 나타나지 않는 기기는 주기적으로 진동 측정기를 이용
check 기록
② 진동측정기로 측정한 진동값은 운전편람등을 근거로 운전상태 파악.
③ 운전상태 파악후 조치 사항 기록.
④ 필요에 따라 이음과 온도도 기록.
3) 온도 점검
① 제어실 CRT 에 추적되지 않는 기기는 발열감지 되면 온도 측정기를 이용 지속적
으로 기록한다.
② 주변 온도도 같이 기록하여 주변 온도 변화에 따른 기기 온도 변화도 파악.
③ 필요에 따라 진동이나 이음 발생 여부도 함께 점검 기록.
④ 기기 온도 변화치를 주기적으로 기록하여 그 변화를 관리한다.
(2) 설비 점검시 문제점 개선사항
1) Unit Trip 과 관련된 기기에 대해 현장 Alarm을 운전원 대기실에 설치 신속한 조치
가 이루어지게 한다.
2) # 2 BLR Rotary FDR 점검용 Peephole 설치요 (A,B)
3) 현장 V/V 조작용 Wench을 제작 각 V/V위치에 비치하여 신속한 조작을 할수 있도
록 한다.
4) CLINKER GRINDER HOPPER점검용 Peephole 확대하여 ASH 퇴적시 신속하게 제
거 하도록 한다.
(3) 활용방안
1) 위에서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기기 운전상태를 파악하여 계속 운전여부, 요주상태,
긴급정지 상태를 수치적으로 나타낸다.
2) Data를 비치하여 기기 점검시 이를 활용하여 기기 상태 파악근거가 되게 한다.
3) 이런 자료는 지속적 수정 보완하여 최적의 기기 점검 안내 지침이 되게 한다.
4) 신입사원에 대한 현정 적응 교육자료로 활용한다.